728x90
💡비개발자가 인공지능 관련 업무 효율화를 목적으로 한다면, 어느 수준까지 LLM을 학습해야 할까?
- 학습 목적이 중요하기 때문에 업무 효율화가 목적이라면, 어떤 것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것인지 파악 필요
- 엑셀을 통해 데이터 분석을 쉽게 하고 싶은 것인지 등 주제를 먼저 정해야 함
- 이후 ChatGPT를 활용해서 노코드 기술 등으로 접근한 후 파이썬을 배워 직접 개발하는 것이 좋음
💡하드웨어 사양이 부족해 로컬에서 LLM 구동 및 공부가 힘들 때 어떻게 해야 할까?
- 올라마(Ollama)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
- 구글 코랩(Colab) pro 구독 시 운 좋으면 A100 사용 가능
💡PDF에서 표를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
- OCR 사용
- 업스테이지 API 추천
- OpenCV 또는 Cascade Tabnet 추천
💡RAG 개발 시 검색하는 문서가 Q/A로 묶인 한 쌍의 리스트일 때 어떻게 분리하면 좋을까?
- 가장 일반적인 것은 Question과 Answer를 한 쌍으로 묶어 하나의 청크(Chunk)로 만드는 방법
- 또는 Question만 임베딩한 후 질문에 해당하는 Answer를 따로 셀렉하여 LLM에 던지기
- 데이터마다 다르기 때문에 직접 해보고 최적의 결과를 선정하는 것이 좋음
💡사내 인트라넷에 상주하는 챗봇을 만든다면 어떻게 구축해야 할까?
- 직접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면 허깅페이스에 공개된 것을 사용해야 함
- VRAM GPU 같은 경우에는 A100 한 장이면 충분할 것 같음
💡OpenAI 활용 시 비용 절약 방법?
- 토큰 수를 줄이는 것이 핵심
- 리트리버를 할 때 청크 사이즈 줄이는 것을 노력해야
728x90
'Study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LLM(거대 언어 모델)과 데이터 분석의 자동화' 리뷰 (0) | 2025.03.22 |
---|---|
[AI] 'AI시대 데이터 직군을 위한 생존 전략' 리뷰 (0) | 2025.03.18 |
[AI] TensorFlow의 NLP 활용: GPT & Hugging Face 연동 (4) | 2025.03.13 |
[AI] 텐서플로우(TensorFlow) (2) | 2025.03.13 |
[AI] PyTorch의 NLP 활용: GPT와 Hugging Face 연동 (2)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