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정민 기자, 뉴시스
출처 :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1203_0002981367
"진짜와 구분이 안돼" 고도화된 딥페이크 공격, 사회 혼란 노린다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내년에는 보다 정교한 딥페이크 콘텐츠가 기승을 부리는 등 인공지능(AI) 기반의 사이버 공격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소규모 언어기반모델(sLLM)을 겨냥
www.newsis.com
💡2025년 5대 정보보안 위협 by. SK쉴더스
- 인공지능(AI) 기반 사이버 공격 증가
- 랜섬웨어의 진화
- ID 및 액세스 관리(IAM) 서비스 대상 위협 증가
- 협력사 보안 관리의 중요성 대두
- 암호화폐 거래소 타깃 공격 재성행
💡대응 방안
- AI 특화 모의해킹 등 안전한 AI 서비스 사용·구축
- 실시간 위협 탐지·분석·대응
- 제로트러스트 구축
- 협력사 정보보안 역량 강화
💡주요 키워드
- 딥페이크(Deepfake): AI 기술을 활용하여 실제 존재하지 않는 영상이나 음성을 만들어내는 기술로, 주로 유명인이나 특정 인물의 얼굴이나 목소리를 합성하여 진짜처럼 보이게 함
- 소형 거대언어모델(sLLM): 기업 내부에서 민감한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구축한 소규모 언어 모델로, 외부 생성형 AI보다 보안성이 높지만, 부서 간 기밀 정보 공유나 외부 협력자 접근 등으로 인해 해킹 위험이 존재
- 랜섬웨어(Ransomware): 시스템을 감염시켜 데이터를 암호화한 후 이를 해제하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소프트웨어. 최근에는 단순한 금전 요구를 넘어 다양한 협박 전략을 구사하는 형태로 진화
- ID 및 액세스 관리(IAM): 조직 내 사용자의 신원 확인과 접근 권한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망분리 규제 완화로 인해 외부 서비스 사용이 증가하면서 보안 위협이 커지고 있음
- 제로트러스트(Zero Trust): 모든 사용자와 기기를 신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검증하는 보안 모델로,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지 않고 모든 접근을 철저히 관리
'정보보안 동향 >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12.10) AI 환각 잡는 'RAG'...만능은 아닙니다 (0) | 2025.02.26 |
---|---|
(24.12.09) MS가 주목하라는 2025년 AI 트렌드 6가지 (0) | 2025.02.26 |
(24.11.27) 내년 사이버 보안 키워드는 AI…'이것'도 같이 뜬다 (0) | 2025.02.25 |
(24.09.11) [CSK2024] 범죄 하나 알려주면 열 배우는 AI…“AI모델 간접 공격 위험도↑” (0) | 2025.02.05 |
(24.11.26) "악성코드 만들어줘"...생성형AI發 보안위협 밀려온다 (0) | 202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