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당부서 : 개인정보제도팀
출처 : https://www.privacy.go.kr/front/bbs/bbsView.do?bbsNo=BBSMSTR_000000000048&bbscttNo=20760
개인정보 포털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개인정보의 처리와 보호에 관한 사안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합의제 중앙행정기관입니다.
www.privacy.go.kr
[1] X 플랫폼(구 트위터)의 Grok AI 챗봇 관련 GDPR 위반사례 분석
1. 개요
2. X의 Grok AI 챗봇 훈련 과정에서의 GDPR 위반 의혹과 이에 따른 규제 조치
(1) X의 AI 챗봇 Grok, GDPR 위반 혐의 의혹
(2) 아일랜드 개인정보 감독기관(DPC)의 법적 조치
(2) 유럽 개인정보보호 단체 noyb의 불만 제기
(3) X 측의 대응과 DPC의 법적 절차 종결 결정
3. 결론
[2] LLM 대안으로서의 LAM, 최신 동향과 개인정보보호 이슈
1. 서론
2. LLM과 LAM의 기술적 발전
(1) LLM에서 LAM으로의 전환
(2) LAM의 개념과 기술적 특징
3. LAM의 기술적 발전이 개인정보 보호에 미치는 영향
'Data >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개인정보 이슈 심층 분석 보고서(VOL.1) - 인공지능(AI) 시대 안전한 개인정보 활용 (22) | 2024.10.16 |
---|---|
2024 개인정보보호 동향 보고서 6월호(VOL.6) (10) | 2024.10.16 |
2024 개인정보보호 동향 보고서 8월호(VOL.8) (6) | 2024.09.25 |
2024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P) 인증제도 안내서 (0) | 2024.09.04 |
2024 가명정보 처리 가이드라인 (0) | 202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