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Python

[Python] 숫자 계산하기

solze 2024. 12. 25. 16:06
728x90

1. 사칙연산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 +, -, *, / 연산자 사용
  • python 3.X은 정수끼리 나눌 때 실수로 값이 나온다. Ex) 4/2 = 2.0

 

2. 나눗셈 후 소숫점 이하 버리기

  • // 연산자 사용
  • 바닥 함수(Floor division)로 불리며, 실수 이하의 최대 정수를 구하는 함수로 정의된다.
  • 실수에 // 연산자를 사용하면 결과는 항상 실수로 나온다. 

 

3. 나눗셈 후 나머지 구하기

  • % 연산자 사용
  • 두 수를 나누었을 때 나머지를 구하며, 모듈로(modulo) 연산자로 불린다.


4. 거듭제곱

  • ** 연산자 사용
  • a**b 는 a의 b 제곱을 의미한다. Ex) 2**10 = 2의 10제곱 = 1024

 

5. 계산 결과를 정수로 만들기

  • int 사용 Ex) int(숫자), int(계산식), int('문자열')
  • 정수(Integer)를 의미하며, int + 괄호를 사용하여 값을 정수로 만든다.

 

6. 몫과 나머지를 함께 구하기

  • divmod 사용
  • 값을 괄호로 묶은 튜플(Tuple) 형태로 나타낸다.

 

7. 객체의 자료형 확인하기

  • type 사용 Ex) type(100)
  • python에서는 숫자도 객체가 되며, 이러한 객체는 class 로 표현한다. Ex) int(1.1)은 실수 1.1을 정수 클래스로 된 객체로 만든다는 의미다.
728x90